장애인복지분과 학회원 정지영
‘40초 당 한 명“
전 세계에 일어나는 자살 발생 수치입니다.
매년 80만명 이상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시대가 도래하였습니다.
이 가운데 대한민국이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를 매년 기록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는 시대에 크게 일조하고 있습니다.
◇ 청소년 사망 원인 1위 ’자살‘
그 중, 10대 중*고등학생들의 자살률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아동 청소년 삶의 질 2022’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0~17세 아동 청소년 자살률은 2021년 기준 10만명당 2.7명에 달했습니다.
2000년대 들어 가장 높은 수치로, 2009년 2.6명을 기록한 뒤 수년째 감소했으나 2018년 이후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15~17세 자살률은 10만명 당 9.5명으로 10명에 육박했으며, 12~14세 또한 2016년 1.3명, 2018년 3.1명, 2021년 5.0명으로 가파르게 증가했습니다.
실제 자살률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지난 2021년 한 해동안 극단적인 선택을 생각한 비율(자살생각 비율), 시도한 비율(자살시도율) 역시 각각 12.7%, 2.2%로 전년(2020년 10.9%·2.0%)보다 늘었습니다.
사망 원인별로 봐도 ‘고의적 자해(자살)’가 10~19세 사망원인 중 가장 많은 비중(43.7%,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청소년 자살의 주된 원인 ‘정신적 문제’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와 온라인 상에서 발생하는 대인관계 문제 등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악화시키는 위험요인들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이를 정상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하다고 지적합니다.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견강의학과 권용실 교수는 ”극단적 선택의 위험요인은 늘었지만, 청소년을 보호할 수 있는 지지체계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지지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해도, 결과적으론 정서적 어려움을 해결할 만큼 실효성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라고 말했습니다.
청소년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쳐오며 거의 3년이라는 시간을 성인들 못지않게 불안한 하루를 살아갔습니다.
등교와 휴교를 반복했으며, 친구들을 만나지 못한 채 집에서 혼자 보내는 시간이 길어졌고 불안장애와 우울증을 겪는 청소년의 수도 늘어났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단절이 소속감이 중요한 아동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쳐 우울과 불안을 더 악화시킨 것입니다.
이재혁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교수 연구팀은 대학의학회지(JKMS)에 코로나19로 인한 한국 청소년 정신건강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코로나19가 발생한 첫해인 2020년 8월부터 11월까지 한국 중고교생 5만494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제 상황이 변화하면서 부정적인 감정을 느낀 경험을 물었습니다.
조사 결과 응답자 중 약 30%에 해당하는 1만6839명은 코로나19 사태로 가정의 경제상황이 악화된 것으로 느꼈습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8709명과 8130명으로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습니다.
코로나19 사태로 경제상황 악화를 느낀 청소년들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에 비해 큰 스트레스를 받은 경험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제상황이 크게 악화됐다'라고 답한 남학생 응답자 중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답변 비율은 40.9%인 반면 '경제상황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라고 답한 응답자 중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 않다'는 답변 비율은 25.3%였습니다.
여학생 중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또한 경제상황이 크게 악화됐다고 답한 응답자(56.7%)가 경제상황이 악화되지 않았다고 느낀 응답자(35.3%)에 비해 훨씬 많았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정의 경제적 지위가 약화되면서 청소년들이 느낀 부정적인 감정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습니다.
남학생 중 가장 많은 응답자가 느낀 부정적인 감정은 슬픔과 절망감(30.7%)였습니다.
이어 자살에 대한 생각(8.1%), 심각한 불안감(2.3%), 외로움(2.0%)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여학생들이 가장 많이 느낀 부정적인 감정은 자살에 대한 생각(26.2%)이었습니다.
이어 슬픔과 절망감(25.5%), 불안감(11.5%), 외로움(2.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느낀 부정적인 감정의 발생양상이 다른 이유에 대해선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코로나19와 무관하게 평소 스트레스를 받는 비율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습니다.
외로움을 느낀 경험에 대해 ‘있다’고 답한 여학생 응답자는 30%인 반면 남학생 응답자는 17.9%로 절반 수준이었습니다.
심각한 불안을 느낀 경험에 대해서도 여학생(4.9%)이 남학생(2.3%)보다 2배 이상 높은 응답율을 보였습니다.
절망감을 느낀 경험 역시 여학생(30.7%)의 응답 비율이 남학생(20.1%)보다 높았습니다.
자살에 대한 생각을 한 경험도 여학생 응답자(13.9%)가 남학생 응답자(8.1%)보다 많았습니다.
◇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인식 증진 교육 필요 ••• 지원 및 교육 확대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로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인식을 증진시키고 이에 대한 지원과 교육이 확대 되어야 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학생들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교육부에서 설립*지원하는 국내 유일의 전문연구 및 교육기관인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가 있습니다.
이 기관에서는 학생의 마음건강 증진을 위한 초중등 교직원 연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정신건강정책이 ”예방-치료-회복“의 全단계 관리로 대전환되고 있습니다.
청소년들의 극단적 선택을 줄이기 위해서는 당사자와 주변 사람뿐 아니라 학교, 국가 등 사회 전반적인 관심과 협조가 필요합니다.
우선 당사자인 청소년에게는 적극적으로 어려움을 표현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노력이 요구됩니다.
무작정 참거나 문제가 아니라고 치부하기보다, 문제가 있음을 인지·인정하고 도움을 구해야 합니다.
주변에서는 청소년들이 보내는 위험 신호에 관심을 갖고, 도움을 요청했을 때 적극적으로 손을 잡아줘야 합니다.
권용실 교수는 “청소년은 전문적이고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함에도, 성인에 비해 숫자가 적다보니 전문 치료기관이 많지 않고 주로 학교·가정에서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며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청소년이 치료 받을 수 있는 보호 병실 또한 많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예방을 위해서는 교육만큼 치료 역시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