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주간모기영 118호

[원중캉의 생태주의로 영화읽기] <옥자>(2017)

2024.01.13 | 조회 265 |
0
|

주간모기영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Christian Film Festival For Everyone|혐오 대신 도모, 배제 대신 축제

원중캉의 생태주의로 영화읽기

<옥자>(2017) -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사이에서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가 아직은 생소하게 느껴지던 2017, 봉준호감독의 6번째 장편 영화 <옥자> 넷플릭스와 소수 극장을 통해 관객들을 만났습니다. 가장 한국적인 미자의 이미지와 가장 세계적인(?) 뉴욕 자본 중심부의 이미지가 영화속에서 나란히 펼쳐지는 광경이 신기하기도 했지만, 이러한 대비가 식민자본주의의 세계적인 영향력을 뚜렷이 묘사하기에 더할나위 없는 구도라고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옥자>(2017) 포스터 (이미지 출처 : grizzlygazettegfhs.com)
<옥자>(2017) 포스터 (이미지 출처 : grizzlygazettegfhs.com)

<옥자> 공장식 축산과 자본의 악한 속성에 관해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영화이기에 공개 당시에 동물권 운동가들로부터 열렬한 지지를 받았지요. 물론 감독 본인은 뻔뻔하게도 영화가 결코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영화가 아니라는 유머섞인 코멘트를 남기기도 했지만 영화가 향하고 있는 메시지는 봉준호의 다른 영화들에 비해서도 무척 쉽고 분명해 보입니다.

<옥자>(2017) 스틸컷 (이미지 출처 : thecinemaholic.com)
<옥자>(2017) 스틸컷 (이미지 출처 : thecinemaholic.com)

 

미자의 유토피아

옥자와 미자가 평화롭게 노니는 강원도 산골마을은 자체로 완벽한 순환의 생태계를 이루는 유토피아로 그려집니다. 미자는 자연에서 필요한 이상을 취하지 않고, 옥자의 풍성한 배설물은 생태계 이웃들에게 소중한 자원이 되지요. 무엇보다 공간 속에서 보여지는 옥자와 미자의 관계가 동물과 인간의 상생과 돌봄이라는 유토피아적 조건을 완성합니다.

이미지 : NETFLIX 제공
이미지 : NETFLIX 제공

자타를 구분하지 않는 옥자와 미자의 모습은 … 타자에 대한 사랑의 능력을 보여준다이는 자연을 타자화시키지 말아야 하며 인간과 자연이 서로 존중함으로써 상호간에 공생이 가능함을 드러낸다미자가 동물 옥자를 가족으로 받아들인다는 의미는 여성과 자연에 대한 지배와 착취를 초래한 사회구조를 변혁시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생태공동체를 구현해야 한다는 뜻이다. 

영화 <옥자>에 나타난 생태학과 에코페미니즘 (진은경,안상원 / 문학과 환경 17 3)

 

미란도의 디스토피아

틸다 스윈튼이 1인 2역한 루시 미란도와 낸시 미란도 (이미지 출처 : sadgirlsfilmclub)
틸다 스윈튼이 1인 2역한 루시 미란도와 낸시 미란도 (이미지 출처 : sadgirlsfilmclub)

옥자와 미자의 자매애와 완전히 대비되는 것은 미란도 자매들이 지닌 자본주의적 속성입니다. 쌍둥이 자매인 루시 미란도와 낸시 미란도는 같은 얼굴을 가졌지만 정반대의 성격을 보여주지요. 한쪽은 인도주의와 친환경을 내세우며 슈퍼돼지 프로젝트를 포장하는데 여념이 없는 한편, 다른 한쪽은 무관용적이고 철두철미한 전략가의 모습을 노골적으로 드러냅니다. 그러나 결국 이들은 사이코패스 성향을 지닌 부친의 폭력성을 그대로 이어받아 자연세계를 물질화하여 소유하는 데에 혈안되어있다는 점에서 쌍둥이처럼 닮았지요. 겉으로는 기후위기를 걱정하는듯 하면서도 결국은 가장 앞장서서 생태계파괴를 일삼는 다국적 대기업들이 지닌것과 같은 모습의 모순을 영화가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라 여겨집니다. 

옥자가 끌려간 끔찍한 도살장 (이미지 : NETFLIX 제공)
옥자가 끌려간 끔찍한 도살장 (이미지 : NETFLIX 제공)

 현대적 축산 단지는 이 세상에서 새로운 유형의 악한 세력을 나타낸다. ... '차가운 악'은 먼 곳에서부터 영향을 미쳐오고, 기술과 제도의 허울속 깊은 곳에 모습을 숨기고 있으며, ... 개인적인 특성이 없으므로 좀처럼 감지되지 않는다. 
 '차가운 악'은 이성적 조직 원리에 의해 이끌리는 제도와 개인에 의해 저질러지는데, 오직 시장의 힘과 실용주의적 목표만이 선택과 결정을 좌우할 뿐이다. 이런 세계에서 창조에 경의를 표하거나, 동료들을 존중하거나, 환경을 보호하거나, 미래 세대의 권리를 보호할 기회는 거의 없다.

제레미 리프킨, <육식의 종말> 342-3쪽, '쇠고기, 그 차가운 악' 중에서

 

모순을 디디어 한걸음 나아가는 사람들

동물해방전선 ALF 대원들 (이미지 : culturalhater.com)
동물해방전선 ALF 대원들 (이미지 : culturalhater.com)

영화는 미란도기업이라는 분명한 악당이 지닌 모순 아니라 동물해방전선(ALF)이라는 이름의 선량한 활동가들이 지닌 딜레마에 대해서도 빠짐없이 보여줍니다. 이들은 생명존중이라는 절대적 가치를 표방하면서도 때로는 단체의 목적을 위해 타협을 피하지 못하는 이중성을 지녔지요. 그러나 감독 스스로도 밝힌바 있듯 영화는 생태운동가들의 취지에 한걸음 공감하며 영화속에서나마 그들이 유리할 있도록 기울어진 운동장을 제공합니다. 이유는 현실세계가 반대방향으로 훨씬 많이 기울여져있기 때문겠지요. 이들 운동가들의 일관성 없는 좌충우돌은 선한 양심에 이끌린 이들이 겪을수 밖에 없는 열악함 혹은 연약함이라 여겨집니다. 대목에서는 오늘날 자본의 논리를 거부하며 생명의 가치를 외치는 무리들이 겪게 되는 혼란과 분열의 이야기들이 떠올라 괜시리 찡해지기도 합니다.

이미지 : thecinemaholic.com
이미지 : thecinemaholic.com

감독은 이들에게 보내는 응원의 결말을 쑥쓰러운듯 엔딩크래딧 뒤에 숨겨두었지요. 쿠키영상처럼 연출된 짧은 결말에서 동물해방전선은 다시 의지를 다지고 동료들을 모읍니다. 검은 복면 뒤에 감추어진 이들의 순박한 얼굴에는 민주사회의 다양성과 연약함, 그리고 생동감이 깃들어 있지요. 이들은 대중교통을 타고 시위장으로 항하며 변하지 않을 같은 현실에 맞섭니다.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사이 어딘가에서 바장이는 우리의 혼란스러운 투쟁을 이입하게 되는 장면이지요.

옥자와 미자는 결국 바뀌지 않는 현실을 뒤로한채 자신들의 유토피아로 돌아옵니다. 속절없이 죽음을 맞이할 밖에 없는 수많은 옥자들의 울부짖음이 이들의 가슴 속에서살아남은 자의 슬픔으로 고동치겠지요. 영화는 어쩌면 슬픔을 우리에게 남기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옥자의 눈망울을 만난 우리의 슬픔이 생명들을 향한 연민으로, 식탁과 산업의 변화로, 조화로운 세상을 향한 열망으로 흘러가가게 되기를 바래봅니다.

 

▲ 필자의 다른 글 보기 [이미지 클릭]
▲ 필자의 다른 글 보기 [이미지 클릭]

 

 

 / 편집디자인 강원중

2024년 1월 13일 토요일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주간모기영

 


주간모기영에 바라는 점이나 아쉬운 점이 있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 소중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

 

Copyright © 2023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All rights reserved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주간모기영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4 주간모기영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Christian Film Festival For Everyone|혐오 대신 도모, 배제 대신 축제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