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과 해외 아티스트의 협업, 지금 가장 뜨겁다!🔥
2024년 K-POP 씬을 빛낸 수많은 키워드 중, 오늘은 ‘해외 아티스트와의 협업’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K-POP은 이제 국경을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전 세계 팬들의 사랑을 받는 거대한 음악 장르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해외 아티스트와의 협업은 K-POP의 음악적 스펙트럼과 영향력을 한층 더 확장시키며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가고 있는데요. 그 중심에는 BTS와 블랙핑크가 있었습니다. BTS는 Nicki Minaj, Snoop Dogg, Halsey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들과의 협업을 통해 K-POP과 팝의 경계를 허물며 세계 음악 시장의 중심에 섰습니다. 블랙핑크는 Selena Gomez와의 ‘Ice Cream’, Lady Gaga와의 ‘Sour Candy’, Dua Lipa와의 ‘Kiss and Make Up’ 등 세계적인 팝스타들과의 협업으로 K-POP의 글로벌화를 가속화했죠.
올해는 BTS와 블랙핑크뿐 아니라, 다른 K-POP 아티스트들도 활발한 글로벌 협업을 선보이며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그렇다면, 2024년에는 어떤 특별한 협업이 있었는지, 함께 살펴보시죠!
K-POP과 글로벌 아티스트의 완벽한 조합🎉
🎤SEVENTEEN(세븐틴)과 DJ Khaled의 초특급 협업
세븐틴은 세계적인 음악 프로듀서 DJ Khaled와 함께 [SPILL THE FEELS]의 타이틀곡 ‘LOVE, MONEY, FAME’을 선보였습니다. 앨범 발매에 앞서 멤버 우지, 민규, 버논이 DJ Khaled의 미국 공연에 초대되며 협업을 암시해 기대감을 끌어올렸는데요. 래칫 장르 특유의 클랩 사운드와 팝적인 멜로디가 어우러진 이 곡은 “모두가 사랑, 돈, 명성을 원하지만, 나는 오직 너만을 원해”라는 메시지로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다시 만난 TWICE(트와이스)와 Megan Thee Stallion(메간 디 스텔리온)
트와이스는 메간 디 스텔리온과 함께 트렌디한 팝 트랙 ‘STRATEGY’를 발표했습니다. 이 곡은 메간의 ‘Mamushi’ 리믹스에서 시작된 인연으로 이루어진 협업인데요. 메간의 강렬한 랩과 트와이스의 매력적인 보컬이 조화를 이루며, 키치한 멜로디에 카우벨과 퍼커션 사운드가 돋보이는 곡입니다. 멤버 정연은 뮤직비디오 촬영 현장에서 메간이 “세상에서 너희가 제일 귀엽고 예쁘다.”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고, 덕분에 현장 분위기가 즐거웠다며 비하인드를 전했습니다.
🎤Stray Kids(스트레이 키즈)와 Charlie Puth(찰리 푸스)의 감성 폭발 협업
스트레이 키즈는 찰리 푸스와 함께 서정적인 R&B 트랙 ‘Lose My Breath’를 발매하며 새로운 음악적 변화를 선보였습니다. 이 곡은 기존의 강렬한 퍼포먼스 중심 음악에서 벗어나 스트레이 키즈의 새로운 매력을 보여주는 곡으로, 팬들에게 신선한 반전을 안겼습니다. 이번 협업은 찰리 푸스가 스트레이 키즈의 SNS를 팔로우하며 암암리에 힌트를 남겨 팬들 사이에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는데요. 스트레이 키즈는 “한 번도 해보지 않은 장르에 도전하며, 기존의 색에서 벗어난 새로운 매력을 담았다.”며 이번 곡에 대한 기대감을 전했습니다.
🎤환상의 커플, ROSÉ(로제)와 Bruno Mars(브루노 마스)
로제와 브루노 마스가 함께한 ‘APT.’는 올해 가장 주목받은 협업 중 하나로, 독창적인 콘셉트와 중독성 강한 멜로디로 글로벌 팬들의 마음을 단숨에 사로잡았습니다. 한국의 ‘아파트 게임’을 모티브로 한 이 곡은 코러스에 "아파트"라는 한국어 발음을 그대로 살려내어 신선한 매력을 더했죠.
로제는 “브루노 마스가 이 곡을 선택할 거라고 믿은 사람은 저뿐이었어요. 모두 보내지 말라고 했지만, 저는 이 곡이 아니면 안 된다고 생각했어요.”라며 곡 선정 과정의 비하인드를 밝혔습니다. 브루노 마스 역시 뮤직비디오 제작 과정에서 “배경은 핑크색이면 예쁠 것 같다.”라는 아이디어를 제안하며 시너지를 극대화했는데요. 두 사람은 뮤직비디오뿐만 아니라 MAMA 시상식 무대에서도 함께 등장해 전 세계 팬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습니다. 특히, 브루노 마스는 자신의 SNS를 통해 엠카운트다운 1위 소감을 전하며 한국 팬들에게 감사 인사를 남겨 화제를 모으기도 했습니다.🖤
🎤해외 뮤지션들의 러브콜까지
K-POP 아티스트들의 글로벌 영향력은 이제 해외 뮤지션들의 러브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주로 K-POP 아티스트의 곡에 해외 뮤지션이 피처링으로 참여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 K-POP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해외 뮤지션들이 먼저 협업을 요청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태연과 Sam Smith(샘 스미스)의 만남을 들 수 있습니다. 태연은 샘 스미스의 요청으로 그의 데뷔 앨범 [In The Lonely Hour] 발매 10주년 기념 디럭스 버전의 ‘I'm Not The Only One’에 참여했는데요. 태연의 섬세한 감성과 샘 스미스의 감미로운 보컬이 어우러지며 완벽한 하모니를 선보였습니다. 특히, 이번 버전에는 한국어 가사가 포함되어 있어 한국 팬들에게는 깊은 감동을, 글로벌 팬들에게는 특별한 매력을 선사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또한, 지난 6월 <서울재즈페스티벌 2024>에서는 Lauv(라우브)의 공연 중 NCT의 재현이 깜짝 등장해 ‘Paris in the Rain’과 재현의 ‘Dandelion’를 함께 열창하며 팬들에게 잊지 못할 순간을 선사했는데요. 이 협업은 2019년 재현이 라우브의 곡 ‘I Like Me Better’를 커버하며 시작된 인연으로, 당시 커버 영상이 1억 뷰를 돌파하며 큰 화제를 모은 바 있죠. 이처럼 K-POP은 해외 아티스트들과의 협업을 통해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영향력을 끊임없이 확장해 가고 있습니다.🔥
글로벌 음악 시장의 중심으로🌍
2023년, 정국의 솔로곡 ‘Seven’이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를 차지하며 K-pop의 위상을 전 세계에 각인시켰습니다. 이어 2024년에는 로제의 ‘APT.’가 빌보드 ‘핫 100’에서 7주 연속 상위권을 기록하며 K-POP 여성 아티스트로서 새로운 역사를 쓰는 동시에, 발매 7일 만에 스포티파이 1억 스트리밍을 돌파하며 K-POP이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글로벌 음악 산업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음을 다시 한번 증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K-POP은 미디어 플랫폼에서도 압도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비디오 스트리밍 시장에서 7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유튜브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독보적인 마케팅 효과를 창출하고 있는데요. 스트레이 키즈와 찰리 푸스의 협업곡 ‘Lose My Breath’는 유튜브 공개 직후 전 세계 45개 지역의 인기 급상승 동영상 차트에 오르며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고, 유튜브 뮤직비디오 트렌딩 월드와이드 1위를 기록하며 K-POP의 디지털 영향력을 입증했습니다.
세븐틴 역시 DJ Khaled와의 협업곡 ‘LOVE, MONEY, FAME’을 통해 북미 시장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기며,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와 ‘2024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서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또한, 미국 ABC 연말 디즈니 특집 방송에서 K-POP 아티스트 최초로 단독 무대를 선보이며 글로벌 무대에서 입지를 더욱 확고히 다졌는데요.
이제 글로벌 협업은 단순한 음악적 교류를 넘어, K-POP과 해외 아티스트가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막강한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K-POP의 글로벌 여정과 무한한 가능성🚀
K-POP은 이제 단순한 한국 대중음악을 넘어, 전 세계 팬들에게 사랑받는 독보적인 글로벌 음악 장르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해외 아티스트와의 협업은 K-POP의 음악적 스펙트럼을 확장하며, 새로운 시장에서 끊임없이 기회를 만들어가고 있는데요.
트와이스는 영어 가사를 통해 미국 시장을 겨냥하며 글로벌 팬층을 더욱 넓혀가고 있고, 스트레이 키즈는 기존의 강렬한 스타일에서 벗어나 새로운 음악적 도전을 통해 신선한 매력을 선보였습니다. 로제는 ‘APT.’를 통해 한국적인 소재와 한국어 발음을 적극 활용하며, K-POP이 고유한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음을 확실히 보여줬습니다.
이처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는 K-POP 아티스트들은 저마다의 색으로 K-POP이라는 이름을 빛내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들의 노력은 단순히 개인의 성장을 넘어서, K-POP 전체의 스펙트럼을 넓히고 변화의 물결을 만들어가고 있죠. 스트리밍, 앨범 판매, 콘서트 투어 등 모든 분야에서 성과가 빠르게 가속화되고 있으며,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의 존재감은 날로 강력해지고 있습니다.
2024년은 K-POP이 더욱 크고 새로운 가능성을 향해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 한 해였습니다. 앞으로도 전 세계 무대에서 펼쳐질 K-POP 아티스트들의 놀라운 활약이 더욱 기대됩니다.🌟
Editing by 믿는도끼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