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초의 히트작
지금까지 일본에서도 웹툰 히트작은 대부분 한국 작품이었고, 실제로 2022년 픽코마의 '인기 탑 30'에 일본 작품은 단 한 편도 없었는데요. 2023년은 픽코마, 라인 망가 등 주요 플랫폼 상위권에 일본 작품이 대거 진입한 한 해였습니다.
여러 가지 작품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신혈의 구세주'는 아마도 국내 남성향 작품 중에서 1위의 히트작이 된 것 같고, 웹툰은 첫 달이 매출의 정점을 찍는 경향이 있는데, (초반에도 잘 팔렸지만) 라인 망가 연재 중 전월 대비 10배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는 점도 특기할 만합니다.
대형 출판사의 진출
이전부터 여러 출판사들이 웹툰에 진출하고 있었지만, 지난 5월 일본 최대 출판사인 슈에이샤가 '점프툰'이라는 브랜드를 런칭하며 본격적인 진출을 선언했습니다. 슈에이샤 자체도 각 편집부로 진출해 이미 히트 웹툰 작품을 배출하고 있지만, 플랫폼과 전문 편집부를 창설하는 형태로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공개는 2024년이라고 하는데, 지금까지의 웹툰 트렌드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점프답게 작가의 창의성을 살린 작품 제작을 한다는 점에서 지금 국내외 웹툰 업계가 가장 주목하고 있는 화두 중 하나입니다.
한국 웹툰 스튜디오의 상장
웹툰 관련 종목으로는 아직 세계적으로도 상장 실적이 많지 않은 가운데, '참교육', '슈퍼스트링 -이세계 견문록-' 등을 배출한 한국의 웹툰 스튜디오인 와이랩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크리에이터를 육성하고, 제작한 웹툰을 영상 등 OMSU(One Source Multi Use)로 확장하는 전략을 표방하고 있으며, 상장 당시 매출은 약 40억 엔, 그 중 웹툰 사업 매출은 약 15억 엔, 나머지는 영상 제작 등으로 23년 12월 1일 현재 시가총액은 약 134억 엔입니다.
계속되는 대기업의 진출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도코모, 라쿠텐, 닛폰 TV 등 국내 대기업들의 대거 진출이 발표되었는데, 애플과 아마존이라는 글로벌 빅테크 2사의 진출은 의외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애플은 한국의 웹툰 스튜디오인 케나즈(대표작: 로그인무림)에 투자한 후, 그들의 작품을 한국이 아닌 일본 시장에 먼저 서비스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디어화
'사레타가와의 블루 (당한 쪽의 비극)' 등 일본 웹툰의 미디어화 사례는 이전부터 있었지만, 'around 1/4(어라운드 쿼터', '남편을 사회적으로 말살하는 5가지 방법', '구독제 불륜'의 드라마화, 그리고 '선배는 남자아이'의 후지TV 노이타미나의 애니메이션화 결정( 24년 방영) 등 사례가 많아진 한 해였습니다.
올해는 한국 작품이지만 No.1 히트작 '나 혼자만 레벨업'의 애니메이션화도 예정되어 있어 미디어화는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이네요.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