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편지
우리 월간 마음건강 뉴스레터 구독자분들 중에는 오늘 사연이 남 일 같지 않다고 느끼는 분들이 많을 것 같네요. 저도 오랜 시간 피부로 느끼며 고민해왔던 주제이기도 하고요. 실제로 지난달 컨트리뷰터 살롱이 끝나고도 한 독자께서 남아 계시다가 저에게 이 주제로 고민을 털어놓기도 하셨어요. 따듯한 마음을 가진 사람일수록 자주 겪게 되는 '들어주는 사람으로서의 고충'이 오늘 사연입니다. 만나볼까요?
오늘의 사연
안녕하세요! 저는 보컬 트레이너로 일하고 있는 30대 후반 여성입니다. 보컬 레슨 특성상 1:1로 수업을 하다 보니 학생들의 사적인 이야기도 많이 듣게 되고, 노래라는 게 기술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 심리와도 많이 맞닿아 있다 보니 심리 상담을 하게 되는 경우도 많은데요. 저도 심리 쪽에 관심이 많아서 보컬 관련 자격증 뿐만 아니라 심리 자격증까지도 취득했습니다. 수강생들의 이야기를 듣고 공감도 하고 위로도 건네는 것까지도 자연스럽게 저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14년째 이 일을 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요즘 많이 버겁다는 생각과 함께 나의 마음은 누가 들어주지?라는 물음표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사실 저도 우울증과 공황장애로 5년째 약을 먹고 있고 지금도 정신과를 다니고 있습니다. 제 주치의 선생님께 이런 부분에 대해서 상담 드리면 환자분이 사실 정신과 의사 역할을 하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다. 이게 기본적으로 타고난 성향이다 보니 기대고 싶은 사람들이 본능적으로 환자분에게 더 기대게 될 것이다. 조금은 받아들이고 사셔야 할 것 같다.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제 학생들의 경우 정신과를 다니는 친구들이 유독 많은데요. 새벽 5시에 자해를 하고 저에게 도움 요청을 했던 학생도 있고, 자살시도를 하려고 하다가 제가 막아선 적도 있었습니다.
학생뿐만 아니라 제 주변 가족, 친구, 애인까지도 저에게 정서적으로 많은 부분을 기대고 있습니다. 항상 공감하며 받아주는 제가 그들의 눈에는 단단해 보이는 것 같아요. 가끔 제가 우울이 심해져서 도움을 요청하면 다들 당황해하는 게 보이다 보니 제 감정에 대해서는 말을 점점 더 아끼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제가 너무 힘들 때는 위로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의 선은 긋고 싶은데 또 성격상 허용적으로 받아주는 부분이 많다 보니 어떻게 거절의 말을 건네고, 제 자신을 지켜내야 하는지 고민이 됩니다.by. 이유엔 님
* 구독자 누구나 아래의 링크를 통해 사연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구독자의 답장
이유엔 님의 사연, 어떻게 보셨나요? 저는 정말 드리고 싶은 말씀이 한가득이었는데요. 우리 컨트리뷰터 여러분들도 비슷한 마음이셨나 봐요. 조언보다는 '저도 그런 사람인데 이번 답변 정말 기대되네요'라고 보내 주신 분들이 훨씬 많을 정도로 말이죠. 한번 살펴볼까요?
장재열의 답장
이유엔 님 사연을 보면서, 얼마 전 다녀온 베트남 여행이 떠오르네요. 어머니 암 완치 기념으로 7년 만에 함께 떠난 효도관광이었는데요. 어머니와 저, 여동생이 함께 떠났어요. 그런데 비행기를 타자마자 어머니가 뭔가 이상한 거예요.
의견을 남겨주세요
밀리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월간 마음건강 by 오프먼트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의견을 남겨주세요
사랑이누나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월간 마음건강 by 오프먼트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의견을 남겨주세요
미소의 하루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월간 마음건강 by 오프먼트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