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4월 16일 휴재 안내(사유:예비군)

지상

자동화 탄약 적재장치

탄약운반장갑차에 적용 가능한 자동화 장치

2025.02.19 | 조회 264 |
4
|
from.
이종혁
쉘든의 밀리터리의 프로필 이미지

쉘든의 밀리터리

다양한 국방 관련 정보들을 소개합니다.

K10 탄약운반장갑차 내부 탄약적재장치. 155mm 포탄 104발을 적재할 수 있다.
K10 탄약운반장갑차 내부 탄약적재장치. 155mm 포탄 104발을 적재할 수 있다.

탄약 운반 체계란 포탄을 출하하여 목표 지점까지 운반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포탄을 목표 지점까지 운반하기 위해서는 운반 차량 등에 적재하여 이송해야 하는데, 국내에서는 탄약운반자동화시스템(Ammunition Transport Automation System)을 적용하여 전장 상황에서도 일관되고 효율적인 탄약보급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K10·K56 장갑차를 운용 중에 있다. 하지만 지상이나 트럭에서 K10으로 탄약을 운반하여 적재하는 상황에서는 전방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거나, 후방의 적재함 문을 열고 수동으로 적재할 필요가 있다.

첨부 이미지

수동 적재 작업은 포탄의 무게(K307 기준, 46.4kg)와 운반 작업 과정에서의 안전 확보 등의 문제로 인해 상당한 인력을 요구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포탄을 적재하므로 숙련도에 따라 포탄 적재 시간이 달라지고,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체계개발 사업을 진행 중인 K9A2 자주포는 수동 적재 운용에 대응하여 보조기구를 반영하고 있는데, 경미한 성능개량 사업으로 개발될 예정인 K10A1 탄약운반장갑차에는 반영되지 않았지만 현재 육군의 인력 감소 추세를 고려할 때 탄약운반장갑차에 자동 포탄 적재장치를 적용할 경우 생존성과 운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첨부 이미지
첨부 이미지

이와 관련하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는 K10 탄약운반장갑차에서 사용자의 작업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자동 포탄 적재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포탄 적재 장치 및 방법(출원번호 10-2023-0003525,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의하면, 포탄 적재 장치는 힌지부(10), 길이조절부(20), 전력 케이블(30), 와이어(40), 와이어 장력기 (50) 및 그립장치(60)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레임에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를 차량의 후방으로 배치하고, 와이어 장력기와 그립장치를 이용하여 포탄을 파지하고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포탄 적재장치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존 탄약운반장갑차에도 적용하기가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1. 포탄 적재 장치 및 방법(출원번호 10-2023-000352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 미래 자주포체계 발전방향(2021 미래지상전력기획 심포지엄)

관련 게시글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쉘든의 밀리터리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4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 장원혁의 프로필 이미지

    장원혁

    0
    about 2 months 전

    약간 이해가 안가는게 K10의 저 포구같이 생긴 탄약출입대로 탄/장약을 촙촙 집어먹어서 내부에 적재하는거 아닌가요? 똑같은 방식을 엉덩이에도 가능하게 해서 수동적재를 좀 더 편리하게 하겠다는 얘기인건가요?

    ㄴ 답글 (3)

다른 뉴스레터

© 2025 쉘든의 밀리터리

다양한 국방 관련 정보들을 소개합니다.

뉴스레터 문의jhst3103@gmail.com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