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튜버란(Vtuber)?
- 인터뷰이는 국내 버츄얼 MCN 브이레코드 박광근님→ 브이레코드 아카데미의 교장 아림
- 버튜버란? 버츄얼 유튜버의 줄임말, 버츄얼 캐릭터를 사용하는 유튜버
- 일반적으로 버츄얼 유튜버와 버츄얼 스트리머를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음
- 버튜버의 시초는 2016년에 시작한 키즈나 아이, 구설수로 인해 현재 활동 중지
- 초기 일본에서 영상계(녹화) 주류 → 한국과 서구권으로 넘어가면서 실황계 인기
- 실황계는 단순히 애니메이션이 플레이되는 것이 아니라, 페이스 트래킹&바디 모션 트래킹 등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버츄얼 캐릭터를 입고 방송
- 키즈나 아이는 영상계 → 트위치 등 실시간 플랫폼들이 진화하면서 실황계가 대세로 떠오르게 됨
일본 버츄얼 산업의 시작
- 버츄얼은 기본적으로 굉장히 비용이 많이 드는 산업이며, 성공한 버튜버 키즈나 아이도 재정적으로 어려웠음
- 바디 풀 트래킹부터 마디 관절을 트래킹하는 장치는 굉장히 비싸며, 아무나 할 수 있는 콘텐츠가 아님
- 이외에 캐릭터 기획하고 디자인을 만들고 모션을 입히는 비용도 상당함
- 사실 버츄얼은 대부분의 모션 트래킹 회사들이 게임사에 트래킹 기술을 판매할 요량으로 기획된 콘텐츠
- 트래킹 기술을 보여주기 위해 캐릭터 시연을 했는데, 파급력이 너무 쎄서 점차 확산되었음
- 오리지널 3D를 만드는데 수천만원, 트래킹도 수천만원 → 풀 3D는 너무 비싸서, 이후 Live2D를 이용한 (보급형) 버튜버들이 탄생
- Live2D란? 프레임 단위 애니메이션이나 3차원 모델링을 사용하지 않고, 다중면의 그림을 이용해 2차원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기술
- 일본은 실시간 방송이 유행하지 않았으나,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이 보급되면서 실황계로 분위기가 반전됨
- 기술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면서 기술력과 바이럴로 시작 → 니지산지 (애니컬러, 버츄얼 MCN)
- Live2D 기술을 보여주면 기술 홍보가 될 것으로 생각, 그러나 예상외로 시연을 위해 만든 츠키노 미토라는 캐릭터가 인기를 끌게 되었음
- 이쁘고 귀여운 외형을 하고 있는데, 입담까지 좋아 센세이션이 일어났음
- 기존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들은 이미 만들어진 상황에서 행동할 수 밖에 없으나, 버튜버는 이쁜 외형의 캐릭터가 실시간으로 반응하고, 호응도 해주는 느낌
- 츠키노 미토가 인기를 끌면서 니지산지에서 버츄얼 스트리머 자체를 산업화하기 시작
- 페이스리그(FaceRig) 등의 프로그램이 나오면서 작은 기업에서도 버츄얼 유튜버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났음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