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악(暴惡)
- 단어를 찾은 곳
여전히 음산할 정도로 목소리를 깔고 있지만 그 속에 배어있 는 숨길 수 없는 감미로움이 이번 통화 상대는 여자라는 것을 단번에 알게 한다. 여자라, 나는 진모의 예전 여자들을 생각한다. 입 대하기 전까지 진모의 여자 문제로 골머리를 앓은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하기야 코밑에 수염이 나기 시작하던 고등학교 1학 년 때 이미 여학생하고 사단을 일으켜 퇴학을 당할 만큼 시작부터 화려했던 진모였다. 그 뒤로 군대에 가기 전까지, 여자애 어머니가 달려와 포악을 떨며 집안을 뒤집은 일이 두 번, 오빠라는 사람이 찾아와 밥 먹던 진모를 냅다 쓰러눕힌 적이 한 번, 들어와서 며느리로 살게 해달라고 시장까지 쫓아가 어머니를 괴롭힌 덜떨어진 여자애가 걸린 적이 한 번, 우선 떠오르는 큰 사건만 해도 다 섯이었다.
양귀자, 모순, 47쪽
- 나의 단어라면
이문(利文)
: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 =이자.
- 단어를 찾은 곳
"오냐. 니네 엄마, 일본어 좀 배워보려고 그런다. 왜?" 역시 이번에도 아니었다. 어머니는 어머니였다.
"속옷가게, 이문 없어서 이젠 집어칠란다. 요새 우리 시장에 일 본 사람들이 하도 많이 오길래, 그래서 일본 사람 좋아하는 걸로 팔아볼까 연구 중이야. 빤쓰 아무리 팔아야 남는 게 있어야지.요샌 내가 파는 속옷은 시골 사람이나 입지 젊은 애들은 거들떠도 안 봐, 빤쓰도 패션이라는 데야 원, 할 말이 있어야지."
"일본 사람들이 뭘 좋아하는데?"
인삼, 김, 김치, 장아찌, 그런 것들을 엄청 찾거든, 박스떼기로 사가는데 아예 일본 사람만 상대하는 그런 가게가 요새 제일 경기가 좋단다. 그런데 일본말을 할 줄 알아야지. 우선 이 책이나 떼어 보고 뭘 하든지 말든지. 까짓것, 하면 하는 거지."
양귀자, 모순, 64쪽
- 나의 단어라면
추신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진 단어를 찾으면 예문을 만들기 어렵습니다. 알게 모르게 예쁘고 따듯한 말만 쓰고 싶은 버릇이 있는 것 같아요. 오늘 단어 중에 포악은, 포악 자체보다 포악을 떨다라는 표현이 제게 익숙하지 않게 다가왔습니다. 부정적인 단어에, 동사까지 이미 정해져 있어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
은비
비공개 댓글 입니다. (메일러와 댓글을 남긴이만 볼 수 있어요)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