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편지
오늘의 인터뷰 주인공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우리나라에서 심리학자, 정신과의사를 가장 많이 만나본 청년”이라고 하고 싶네요. 심리학의 대중화를 목표로 달려온 85만 유튜버,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의 최설민님입니다. 전문가 유튜버가 자기 지식을 나누는 형태로 진행되는 대부분의 심리학 유튜브와 달리, 놀심은 인터뷰 채널이라는 특징이 있는데요. ‘평범한 사람’의 시선에서 전문가를 초대해 묻고 경청하는 그의 모습이 우리들과 퍽 닮아서일까요? 놀심은 국내 심리학 관련 채널 중 가장 많은분께 가장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채널입니다.
그런 그를 이 자리에 모신 이유는 단순했습니다. “그렇게 많은 전문가를 만났으니 마음 돌봄에 대한 인사이트라면 거의 통달한 수준 아닐까?”라는 생각이었지요. 그럴 만도 하지 않나요? 700개가 넘는 심리학 인터뷰를 진행하며 최근 가장 핫한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부터 유퀴즈의 정신과의사로 유명한 김지용 전문의, 아침마당으로 기성세대에게 더욱 익숙한 윤대현, 김병후 정신의학 전문의까지 국내의 내로라하는 전문가들을 모두 만나본 그이니 말입니다. 그런데 인터뷰를 진행하면 할수록 예상과는 다른, 그러나 그래서 더 좋은 모습을 발견한 시간이었습니다. 심리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얼굴은 봤을 사람, 그러나 그의 이야기는 거의 들어본 적 없는 사람, 최설민님을 만나봤습니다.
오프더모먼트
<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최설민 (심리학 유튜버) >
장재열(이하 장) : 안녕하세요,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최설민(이하 최) : 안녕하세요,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채널을 운영하고 있는 최설민이라고 합니다. 반갑습니다.
장 : 어떠세요? “우리나라에서 전문가를 가장 많이 만나본 청년” 호칭 마음에 드세요?
최 : 감사합니다. 노코멘트 하겠습니다.(웃음) 인터뷰 콘텐츠를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었네요.
장 : 그러고 보니 심리학분야 채널들은 인터뷰 콘텐츠가 흔치 않았잖아요. 대부분 전문가 선생님들께서 직접 나와서 자기 채널을 하시고 그런 경우가 많으니까요. 이런 시도를 하게 된 계기가 있나요?
최 : 제 성향인 것 같아요. 처음에는 저도 비슷하게 혼자 나와서 심리학 지식을 설명하는 형태로 해봤는데, 어느 순간 한계가 느껴지는 거예요. 성장의 한계도 느껴지고 제 개인적인 한계도 느껴지고요. 저는 출연자보다는 기획자에 가까운 성향이라 판을 만들고, 이 일을 왜 해야 하는 지 방향을 세우고 그런 부분에 흥미가 있는데요. 그런 제가 출연자가 되어서 혼자 화면에 내내 나오는 게 좀 힘든 부분도 있었어요. 어쨌든 그렇게 하면서 약 20만 구독자 정도까지는 성장을 했었는데, 제가 스스로 힘들기도 하고 성장 추이에도 정체가 오고 그랬어요.
장 : 그때 인터뷰 콘텐츠를 시도해 본 거군요?
최 : 네, 그런데 저는 늘 그런 생각을 하고 살아요. ‘나는 서포터다.’ 라고요. 저는 이 채널을 하기 전부터도 늘 상대방이 주인공인 채로 그분의 이야기를 듣고 경청하는 역할이 좋고 저 스스로가 그런 역할에 더 잘 맞는 사람이라고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오히려 저한테 맞는 옷을 입기 시작하면서 여러분들이 아시는 그 ‘놀심’의 형태가 갖춰지게 된 거죠.
장 : 20만 구독자도 사실 굉장한 거긴 한데, 어쨋든 자기자신의 성향을 녹여내기 시작하면서 더 성장을 해나갈 수 있었다는 거네요. 그런데 이 유튜브 채널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뭐예요? 상당히 대형 유튜버이신 것 치고는 인터뷰를 많이 안 하셔서 그 히스토리를 접하기가 쉽지 않더라고요.
최 : 안 한 게 아니고, 섭외가 많이 안 온 거긴 합니다.(웃음) 원래부터 심리학에는 관심이 좀 있었어요. 그런데 처음부터 심리학과를 간 건 아니었고, 대학입시에 실패해서 모든 대학에 떨어졌거든요. 그래서 학점은행제를 거쳐서 영어영문학과에 편입해서 다니고 있었어요. 왜냐하면 저는 수학을 아주 싫어해서 재수는 자신이 없고, 그런데 편입은 영어 공부만 열심히 하면 된다길래 그 길로 간 거죠. 그런데 거기서 한 번 더 편입을 해서 심리학과를 가게 된 거예요.
장 : 아니, 그 어렵다는 편입을 두 번이나. 아니 처음부터 심리학과를 가지 왜 두 번이나 시도를 했나요?
최 : 심리학에 관심은 많았지만, 실제로 제가 그 공부를 하고 그 진로를 택해야겠다고 생각한 건 군 입대 이후였어요. 군 생활 내내 후임들이나 동기들의 고민을 들어주는 시간이 상당히 많았고 그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마음을 듣는 걸 진로로 삼아야겠다’라고 생각하게 되어서 전역 후 바로 심리학과 편입을 준비했지요. 단 2명 뽑는 데에 60명이 지원을 한 상태였고, 개인적인 사정 때문에 이 편입에 실패할 경우에는 영어영문학과를 1학년부터 다시 다녀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그래도 일단 눈 딱 감고 지원했지요.
장 : 오히려 배수의 진을 친 거군요?
최 : 네 맞아요. 저는 배수의 진을 치면 늘 마음이 편안해지더라고요. 선택지가 그것뿐이잖아요. 대학 졸업 후에도 취업을 아예 준비하지 않고 맨땅에 헤딩하는 마음으로 바로 제 일을 시작했어요. ‘심리학의 대중화’를 목표로 오프라인 커뮤니티를 만들었지요.
장 : 요즈음 대세인 ‘트레바리’나 ‘넷플연가’같은 커뮤니티형 모임 같은 거네요?
최 : 네 맞아요. 사람들이 꼭 힘들고 괴로울 때 상담으로 심리학을 접하는 게 아니라 그냥 편안하게 모여서 놀면서도 심리학을 배우고 자기 삶에 적용하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게임을 만들어서 같이 진행하기도 하고, 워크숍도 하면서 2년을 보냈지요.
장 : 아,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이라는 채널명이 거기서 나온 거군요?
최 : 네 맞아요. 사람들이 공부하듯이 배우는 게 아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었고요. 그런데 2년 정도 오프라인 커뮤니티를 하고 나서 대차게 망한 거예요. 정부 지원을 받아서 심리학 기반의 게임도 만들고 매주 모임을 열어서 50~60명의 사람들과 함께 프로그램을 하고 그 시간들이 참 의미 있었는데, 사업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어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긴 했지만 , 확장의 한계가 가장 컸지요. 그때 생각한 게 뭐였냐면 ‘와, 나와 동료들이 2년 동안 정말 온 힘을 다했는데, 아무도 놀심을 모르네?’ 였어요. 오프라인의 한계를 느낀 거죠. 그래서 한계가 없는 영역으로 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일용직을 시작해서 돈을 모으고, 모은 돈으로 다시 올인을 해서 유튜브를 시작하게 되었어요.
장 : 이번에도 배수의 진을 친 거군요. 저만 그러려나요? 독자분들께서도 비슷한 생각 하실 거 같은데 ‘와 설민님은 기본적으로 배짱이 좋은 사람이구나’라는 느낌이 들거든요
최 : 아니에요. 저도 불안이 없는 사람이 아닙니다. 물론 어떤 분들은 불안하시면 시도를 안 하거나, 플랜 B,C를 세우시는 경우도 있지만 저는 선택지가 오히려 이것뿐일 때 마음이 편해지더라고요.
장 : 이럴 때 저는 사람들이 참 다 다르다고 느껴요. 저의 경우는 반대로 선택지가 여러 개일 때 안정감을 느끼고 도전을 할 수 있거든요. ‘이거 실패해도 저쪽으로 가면 되니까 괜찮아’라는 마음이 들어야 도전을 할 수 있더라고요.
최 : 저도 그런 면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닌데요. 유튜브를 시작하기 전에 일용직을 했다고 말씀을 드렸잖아요. 처음엔 물론 익숙지 않았지만 몇 달 해보니까 할만한 거예요. 생각보다는 안 힘들더라고요. 그래서 또 실패하면 다시 이 일을 해도 괜찮겠다. 또 모아서 시도해 보면 되겠다. 그런 생각은 있었죠.
장 : 그런데 다행히 지금까지는 실패하지 않고 쭉 잘 걸어왔어요. 무려 85만 유튜버가 되기까지! 그 성장의 비결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의견을 남겨주세요
동그리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월간 마음건강 by 오프먼트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의견을 남겨주세요
도로시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월간 마음건강 by 오프먼트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의견을 남겨주세요
김한나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월간 마음건강 by 오프먼트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의견을 남겨주세요
유캔두잇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월간 마음건강 by 오프먼트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