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편지
얼마 전에 쓰러졌습니다. 그렇다고 쓰러질 일이기야 한가? 의아해서 달력을 켜서 세어봤더니 웬걸. 쓰러질 일 맞더구먼요. 출간 후 37일 동안 무려 22개의 북토크를 했더라고요. 수액을 맞아야 할 정도로 체력이 고갈되어버린 저에게, 동네 병원 의사선생님은 이해가 안 된다는 듯이 물으셨습니다. “아니, 장 작가님. 그래도 내 몸이 먼저지 이번에 왜 이렇게 무리하는 거예요? 이러다가 한강 작가님만큼 인기 있어지는 거 아니야?” 저는 말했지요. “아이고 선생님, 돌아다닌다고 책이 몇백 권씩 팔리는 거 아니에요.” 선생님은 의아한 표정으로 물었지요. “아니 그럼, 대체 왜 그렇게 다니는 거예요? 전에 책 낼 땐 이 정도 아니었잖아.”
그랬습니다. 평소 책 한 권을 내면 10회 남짓 독자와의 만남이나 사인회, 북토크를 하는 저였지만 이번에는 두세배를 훌쩍 넘는 일정을 소화하고 있었어요. 제 SNS를 보는 많은 지인들이 말은 안 해도 대부분 건강을 염려하고 있었더라고요, 그토록 발 벗고 뛰는 이유는 딱 하나, 책의 주제가 ‘고립’이었기 때문이지요. 어느덧 작가로 12년 차, 매번 새로운 책을 낼 때마다 전혀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게 됩니다. 번아웃을 주제로 책을 썼을 때는 너무 열심히 살고 있는 워커홀릭 직장인들을 가장 만났고, 불안을 주제로 책을 냈을 때는 20대 취준생 독자들을 가장 자주 만나게 되었지요.
마찬가지로 이번에는 ‘고립’을 경험하는 사람들을 만나야 할 텐데, 상황이 조금 달랐습니다. 초반에 북토크를 열어도, 사람들이 모이지 않았어요. 왜? 아니 내가 그래도 나름 이름있는 작가인데 이렇게까지 안 모일수가 있나? 당혹감도 잠시, 책을 다 읽은 독자 민지님이 힌트를 주었습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
동그리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월간 마음건강 by 오프먼트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의견을 남겨주세요
사랑이누나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월간 마음건강 by 오프먼트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