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새로운 콘텐츠 시리즈의 시작과 멤버십 홍보!!

비즈니스 케이스

누가 어떤 의사결정을 하도록 할 것인가?

EA(Electronic Arts)와 크래프톤의 사례로 알아본 창의성과 비즈니스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방법 (2)

2024.06.09 | 조회 408 |
0
|

모든 역할의 전략

성공적인 비즈니스, 그리고 삶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위한 전략적 사고

오늘은 지난 콘텐츠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EA와 크래프톤의 케이스를 바탕으로 사업과 크리에이티브의 균형을 맞추는 과정에서 전략이 어떤 역할을 어떤 방식으로 수행하게 되는지 소개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이런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전략 실행의 접근법과 우리가 우리의 자리에서 어떤 질문을 통해 각자의 역할을 찾을 수 있을지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EA와 크래프톤의 사례 

지난 콘텐츠에서 창의적인 산업에서의 전략의 역할을 크게 두 가지고 구분해 소개해 드렸었는데요.

  • 크리에이티브의 방향성과 범위를 정의하는 것
  • 전략이 실행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것 

 

이번 콘텐츠에서는 EA(Eletronic Arts)의 CSO(Chief Strategy Officer)인 Mihir Vaidya와 맥킨지(McKinsey&Company)의 인터뷰, 그리고 우리나라 게임 기업인 크래프톤(KRAFTON)에서 Head of Corpoerate Development(기업개발본부장, 부사장)를 맡고 계신 박혜리(Maria Park)님이 게임 산업 컨설팅 기업 NAAVIK에서 진행한 인터뷰 내용을 소개할 예정이에요. 

 

각각의 사례를 통해 전략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조직 위계의 상위 관리자들이 어떻게 또 어던 의사결정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겠습니다! 

 

EA (Electronic Arts)

 

크리에이티브의 방향성과 범위를 정의하는 것

EA에서 전략은 크리에이티브를 억압하지 않고 자율성을 보장하면서 방향을 제시해요. 

EA의 CSO는 이를 위해 명확한 비전을 설정하는 동시에 크리에이티브팀이 그 안에서 혁신을 이루어낼 수 있도록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어요. 

이는 크리에이티브 팀이 시장, 소비자 트렌드, 기술 발전에 대한 맥락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크리에이티브 프로세스(개임을 개발하는 등)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요. 

 

EA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통해 크리에이티브팀이 어떤 고민을 해야 하는지를 정의하고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어요. 

  • 혁신에 집중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 EA의 전략은 플레이(유저의 경험), 시청(이스포츠, 스트리밍), 창작(UGC, 즉, 플레이어가 창작할 수 있는 환경 제공), 연결(소셜 기능 및 유저 커뮤니티)의 네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중 플레이는 모든 크리에이티브팀에 적용되는 부분이지만, 게임의 장르나 유형에 따라 핵심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다를 수 있어요. 
  • 기술 변화 적응 강조: EA는 게임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더 나은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AI와 같은 기술 변화에 적응할 것을 요구해요. 예를 들어, EA Sports FC 24는 머신러닝을 활용해 제작 시간은 단축하면서도 더욱 역동적이고 현실적인 게임 플레이를 구현하죠. 
  • 고객 중심 접근 : EA는 투자 및 개발의 기본 원칙으로 유저 경험을 강조해요. (앞서 전략의 네 가지 요소 중 하나이기도 하죠.) 이는 본질적인 부분에 집중하면서도 장기적인 관점을 유지할 수도 있도록 해요. (고객 중심 접근이 장기적인 관점으로 이어지는 이유는 게임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서 미래에 플레이할 고객에게도 매력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전략 실행을 위한 기반 구축 

EA의 전략 실행에는 기술 혹은 마케팅과 관련된 이니셔티브에 대해서는 하향식 지침을 제공하면서도, 크리에이티브의 자율성을 지원하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어요. 

즉, 이는 크리에이티브팀이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고객 경험에서의 혁신을 만들어 내는 데 필요한 자원과 지원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해요. 

 

EA는 크리에이티브팀에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전략의 방향성을 유지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어요. 

  • 역할 분리를 통한 자율성 보장 : 크리에이티브팀이 필요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맥락과 정보,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크리에이티브팀의 역량을 강화합니다. 즉, 무엇을 해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할지 결정할 수 있도록 필요한 맥락(전략적 방향성, 경쟁 상황, 트렌드, 기술 발전 등)을 제공하는 것이죠. 
  • 기술의 하향식 지원 : EA는 SEED(Search for Extraordinary Experiences)라는 조직을 통해 혁신을 위한 기술 개발과 기술의 업무 프로세스 통합을 지원해요. 실제로 생성형 AI가 메인 스트림에서 논의되기 전부터 이에 대한 개발을 진행해 왔고 현재는 현업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해요. 
  • 리소스 할당 : EA는 조직이 가지는 강점(인재, 기술, IP)를 크리에이티브팀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전략적인 우선순위에 따라 할당해요. 특히 조직의 지원이 필요한 일(비교적 규모가 큰) 마케팅 캠페인이나 기술 확보와 같은 영역이 포함될 수 있어요. 

 

크래프톤 (KRAFTON) 

 

크리에이티브의 방향성과 범위를 정의하는 것 

크래프톤의 전략은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하며, 광범위한 비즈니스 목표와의 연계를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어요. 

특히 PUBG의 배틀그라운드라는 검증된 IP의 성장과 새로운 IP(게임)의 개발이 균형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개발 스튜디오(크리에이티브팀)의 자율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해요. (EA와 동일하게)

 

크래프톤도 EA와 유사하지만, 인터뷰에서 강조한 부분은 조금 달라요. 개인으로는 EA의 상황과 크래프톤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일 것 같은데요. 

EA는 이미 성숙한 기업으로 내부적인 역량과 체계가 갖춰진 상황이며, 제가 알기로는 최근 게임 스튜디오의 M&A가 거의 없었어요. 하지만 크래프톤은 공격적으로 투자와 M&A를 진행하고 있고, 그에 따라 각 개발 스튜디오들이 자유롭게 게임을 만들면서도 어떻게 함께 성장시킬 것인지, 또 동시에 조직(크래프톤)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를 고민한 결과인 것 같아요. 

  • 크리에이티브(개발) 친화적 문화 : 크래프톤은 창의적 자율성을 중시하는 개발자 친화적 문화를 유지하고 있어요. 이를 통해서 게임 스튜디오는 개별적으로 기민하게 혁신을 추구할 수 있죠. 동시에 지식과 기술, 자산을 공유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어요. (이를 공유하는 이벤트도 있고요.) 문화적으로 이를 강조하는 것은 조직의 핵심가치에서 시작하는 부분이며, 우리가 일할 때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지를 강조하는 방법 중에 하나에요. 
  • 포트폴리오 다각화 : 크래프톤이 제공하는 전략적 가이드는 Scale-up the Creative라는 문장으로 표현되며, 쉽게 이야기하면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있어요. (이것만은 아니지만) 이 과정에서는 새롭고 혁신적인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비전으로, 장르, 지역, 플랫폼 등 어떤 방향으로 다각화할 것인지를 제시하죠.  다크 앤 다크 모바일, 인조이와 같은 프로젝트들은 이런 노력의 결과들로 현재 개발/테스트 중이에요. 
  • 고객 중심 접근 : 모든 기업의 중심이겠지만, 게임 기업들은 특히나 플레이어의 경험을 강조하는 것 같아요. 크래프톤도 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를 위해 플레이어의 니즈를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해요. 예를 들어, 배틀그라운드의 부분 유료화 모델 전환, 부정행위(핵) 방지 조치 등은 조직의 목표 측면에서의 필요도 있었지만, 고객 경험을 위한 전략적 방향성 하에서 진행되었다고 해요. 

 

전략 실행을 위한 기반 구축 

크래프톤 또한 크리에이티브팀의 업무를 지원하고, 스튜디오 간 시너지를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춰 전략 실행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어요. 

 

특히 EA와 다른 부분은 전략적 투자(M&A, 지분 투자 등)에 적극적이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어요. 

  • 전략적 투자 : 크래프톤은 전략적 방향성에 부합하는 게임 스튜디오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어요. 이 과정에서 게임 스튜디오의 비전과 크래프톤의 비전이 잘 맞을지, 그리고 그들에게 필요한 것을 크래프톤이 제공할 수 있을지를 논의한다고 해요. 
  • 연구개발 : 크래프톤은 AI를 활용해 게임 개발 효율성을 높이고 개인화된 플레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딥러닝 부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업무 프로세스에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물론 버추얼 프렌드와 같은 개인화된 경험을 위한 기술 연구도 진행하고 있죠. 
  • 자원 및 역량 지원 : 크래프톤은 게임 스튜디오가 게임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요. 대표적인 부분은 게임 퍼블리싱(서버를 운영하고 고객을 관리하는 등) 역량을 제공하는 것이고, 그 외에도 크래프톤에서 개발한 기술 등이 포함될 거예요. 

 

전략 실행을 위한 접근법

EA와 크래프톤의 사례의 공통점은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가치 아래에서 중앙과 크리에이티브팀의 역할과 책임이 구분되어 있다는 점이에요. 

 

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아마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특히 우리가 목표와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무엇이 더 적합한가로 자주 논쟁이 일어나는 부분이기도 한데요. 

바로 탑다운(Top-down) 접근과 바텀업(Botton-up) 접근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어떤 접근법이 더 효과적일 수 있고, 하이브리드의 수준도 달라질 수 있겠지만,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대부분의 경우 어느 하나의 접근만을 따르는 것이 아닌 적절한 하이브리드가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EA의 CSO인 Mihir Vaidya와 크래프톤의 박혜리 본부장 또한 인터뷰에서 이 부분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고, 그에 따라 상위에서의 전략의 역할에 대해서 강조하기도 했고요. 

 

멤버십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가입하시려면 아래를 클릭해주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4 모든 역할의 전략

성공적인 비즈니스, 그리고 삶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위한 전략적 사고

뉴스레터 문의hakguan.b@gmail.com

자주 묻는 질문 서비스 소개서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