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엄마’라는 뜻의 워킹맘은 꽤 오래전부터 우리의 일상어로 자리 잡았다. 그 대칭으로 ‘일하는 아빠’라는 뜻의 워킹대디라는 표현도 자주 눈에 띈다. 그럼에도 ‘워킹맘’이라는 단어를 들을 때마다 스멀스멀 올라오는 불편함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일하는 엄마’를 구분 짓게 한 시작점은 ‘일하지 않는 엄마’를 기본으로 바라본 당시 사회적 인식에서가 아닐까 싶다. 가사 노동을 일로 여기지 않았기에, 전업주부를 일하지 않는 엄마로 정의하고, 이에 대비해서 ‘일하는 엄마’를 규정한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일하는 아빠’를 규정하는 별도의 단어가 없었던 건, 아빠는 원래 밖에 나가서 일하는 사람이라는 인식 때문으로 보인다. ‘일하지 않는 아빠’, ‘가사 노동을 전담하는 아빠’를 뜻하는 단어를 쉽게 떠올리지 못하는 것도 비슷한 이유가 아닌가 싶다.
한 여성이 ‘워킹맘’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잠시 떠올려보면, 결혼과 출산, 육아 휴직 또는 퇴직, 일터로의 복귀, 업무와 육아의 병행이라는 프로세스를 따른다. 자연스럽게 워킹맘이라고 하면, 회사 일과 육아를 함께 수행하는 어려움과 고단함을 지닌 존재, 뭔가 더 큰 의지와 에너지가 필요할 존재를 떠올리게 된다.
그렇다면 우리의 일터에서 ‘워킹맘’은 어떤 이미지일까? 각 조직의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달리 해석될 여지가 충분하지만, 업무와 육아를 병행해야 하므로 회사 일에 오롯이 몰입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인 구성원이라는 선입견이 꽤 있지 않은가? 상대적으로, 자녀를 둔 남성을 이런 시선으로 바라보는 경향성이 크지 않다면, ‘워킹맘’으로 불리는 것만으로도 선을 긋고 다른 영역에 그 여성 구성원을 가져다 두는 행위가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든다.
여성의 경력 단절을 예방하자는 취지에서 정부 기관과 다수 조직이 육아휴직 활성화와 유연근무제의 적극적 운영을 제안하곤 한다. 이러한 제도 차원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우리가 매일 출근하는 일터에서 각자가 마주하는 특성과 어려움을 잘 담아내는 단어를 찾아내고 사용하는 시도와 노력 역시 중요해 보인다. 그런 면에서 워킹맘을 대체할 수 있는 좋은 단어로는 어떤 게 있을까?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에게 질문을 함께 나누고 싶다.
* 글쓴이
인생여행자 정연
이십 년 가까이 자동차회사에서 HR 매니저로 일해오면서 조직과 사람, 일과 문화, 성과와 성장에 대해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몸으로 답하는 시간을 보내왔다. 지층처럼 쌓아두었던 고민의 시간을 글로 담아, H그룹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며 칼럼을 쓰기도 했다. 10년차 요가수련자이기도 한 그는 자신을 인생여행자라고 부르며, 일상을 여행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글을 짓는다. 현재는 H그룹 미래경영연구센터에서 조직의 나아갈 방향을 고민하며 준비하고 있다.
댓글 1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호잇
사회와 문화가 바뀌면 "워킹맘"이라는 단어도 점점 덜 쓰게 되지 않을까 싶어요ㅎㅎ 또는 가정주부(家庭主夫)처럼 새로운 단어를 제안하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