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주간모기영 43호

'삶의 정처 없음’과 우리의 축제, [세 번째 모기수다] 소식입니다, ✨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 모기영의 모든 활동은 여러분의 후원금으로 이루어집니다, 모기영은 순항중⛵

2022.06.11 | 조회 426 |
0
|

주간모기영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Christian Film Festival For Everyone|혐오 대신 도모, 배제 대신 축제

2022년 주간모기영 43호
2022년 주간모기영 43호

 

“‘삶의 정처 없음’과 우리의 축제”

💡 “반복은 리추얼의 본질적 특성이다. 그러나 집약성을 산출할 능력이 있다는 점에서, 리추얼은 ‘루틴 routine’과 다르다. 반복을 특별하게 만들고 루틴화하지 않게 보호하는 집약성은 어디에서 유래할까?”

한병철, 『리추얼의 종말』(김영사, 2021), 18쪽에서.
한병철, 『리추얼의 종말』(김영사, 2021)
한병철, 『리추얼의 종말』(김영사, 2021)

『피로사회』의 저자 한병철의 새 책 『리추얼의 종말』에는 “삶의 정처 없음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라는 부제가 달려 있습니다. ‘삶의 정처 없음’이라는 말에 이끌려 집어든 책입니다.

삶이란 흔히 인생이라는 시간을 떠올리게 하는 단어인데 반해 ‘정처’란 정해진 처소라는 점에서 ‘장소’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대표적인 ‘리추얼(의례)’의 양식인 축제에 대해, 저자는 ‘축제에 간다’ ‘다닌다’라는 말에 주목했어요. 우리는 노동을 ‘다닐’ 수 없지만, 축제의 시간은 “건물처럼 서 있는” 시간이어서, 그 시간은 흘러가버리지 않는답니다. 그렇게 축제의 시간은 거주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거주 가능한 시간’은 삶에 안정감을 만들어냅니다. 마치 우리 일상의 사물들이 그런 것처럼요.

💡“사물들은 삶을 안정화하는 고정된 말뚝들이다. 리추얼도 똑같은 기능을 한다. 리추얼의 같음을 통하여, 반복을 통하여, 리추얼은 삶을 지속적이게(멈춤 가능하게) 만든다.” 

(11쪽)

그러나 신자유주의 시대 자본주의는 이 지속과 머무름을 불가능하게 하는 연쇄지각의 세계입니다. 수직의 깊이를 추구하는 대신 클릭과 링크를 통해 수평으로 뻗어나가며 계속해서 새로움을 추구하게 하죠. 저자는 우리를 지겹게 하는 것은 과거가 아니라 새로움이라고 말합니다. 리추얼을 루틴으로 만들어 빨리 지겹게 만드는 것, 그래서 새로운 것을 생산하고 소비하도록 강제하는 것이 자본의 최대 목표라는 겁니다.

생각해보면, 영화이론가들과 철학자들은 영화가 지닌 리추얼로서의 속성에 일찍부터 주목해왔습니다. 집단 관람으로 시작되었고 정기적인 여가활동으로 각광받았고 친교와 친목에 기여했고 이데올로기적으로는 자주 정서 순화(?)와 사회통합에 기여해왔다고 평가되는 대중영화는 매력적인 리추얼로 꽤 오랫동안 사랑받아왔습니다. 하지만 디지털화된 영화와 개인적인 관람 습관과  OTT 플랫폼의 정착에 더해 코로나 팬데믹으로 영화의 고전적인 리추얼은 전에 없이 더욱 새로운 영토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겠지요.

모기영의 네 번째 축제를 준비하며, 신자유주의와 자본에 잠식된 ‘리추얼’들에 대해 생각해봤습니다. 우리의 예배가, 일상을 중지하고 공동체적 유대를 도모하는 축제가, 루틴으로 재빨리 자리 잡기 전에 우리는 어떤 새로운 리추얼을 도모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때마다 생간나는 ‘장소(정처)’로서의 안정감을 유지하면서도 여전히 새로울 수 있을까요. 고민이 깊어집니다.


[세 번째 모기수다] 소식입니다.

영화 <벨파스트 Belfast>(2021)를 보고 모였어요. 북아일랜드의 수도 벨파스트에서 자란 감독 케네스 브래너는 아홉 살 무렵 고향을 떠나온 기억을 흑백의 기록으로 남기면서 연극과 영화에 대한 마술적인 매혹은 컬러로 재현했어요. 신교와 구교, 종교간 갈등이 극심하고 폭동과 테러가 일상이던 1969년의 그곳을 소년 버디(주드 힐)의 가족은 낯선 세계로의 모험을 떠나듯 떠나옵니다. 마침 인류가 최초로 달에 발을 내딛은 해이기도 했죠.

영화의 마지막에는 이런 자막이 올라옵니다.

 

💡 “떠난 이들과 남은 이들, 행방불명된 이들(the lost)을 위하여.”

이미지출처 : 네이버 영화
이미지출처 : 네이버 영화

우리 모두에게도 벨파스트같은 공간 그런 기억의 공동체가 있지 않을까 함께 생각하고 떠오르는 순간들을 나눠봤어요. 떠난 이들, 우리가 두고 떠나온 이들, 지금은 행적을 알 수 없는 그 시절 우리의 이웃과 벗들에 대해서 말이죠.

금요일 밤 모기수다는 풍성하고 따뜻했답니다.

[모기수다]는 주간모기영 독자여러분께 열려있는 작은 모임입니다.

격주로 열리는 모기수다에 참여하기 원하시는 분은 본 메일에 댓글이나 회신으로 관심을 표해주시거나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카카오채널로 문의해주세요.

채팅하기로 문의주세요!
채팅하기로 문의주세요!

 


✨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
✨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

지난 2주간 정기후원으로 모기영을 응원해주신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강●영, 구●남, 김●정, 김●선,
박●용, 박●형, 박●숙, 박●홍,
이●은, 이●진, 이●화, 최● 님
고맙습니다.

(2022.5.25.-6.7. 기준)

제3회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전체사진
제3회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전체사진

 여전히, 정기후원과 일시후원도 환영합니다.
(재)한빛누리 계좌이름으로 출금이 됩니다.
이 점을 꼭 기억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기부금 영수증 발급이 가능한 후원방법
    (재)한빛누리 공익기금 후원신청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지정후원) 
    https://online.mrm.or.kr/9owCpHB
    국민은행 343601-04-143128
    예금주: (재)한빛누리(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기부금영수증 발행조건
    : 성명, 주소, 주민번호를 꼭 입력해주셔야 기부금영수증이 발행됩니다. 
이미지 누르기
이미지 누르기
  • 기부금 영수증 발급이 필요없는 경우 후원계좌 
    국민은행 598601-04-177174 
    (예금주: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이 계좌로 정기후원을 하실 경우
    은행에 직접 CMS 출금을 신청해주시고,
    모기영 자체 후원약정서를 작성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forms.gle/CZpi2XBat9RBqu6D8

모기영은 순항중⛵

 

한 가지 기쁜 소식을 알려드리며 이번 호 주간모기영을 마감합니다.

서울시 종교문화정책과에서 주최하는 지원금 사업에 올해도 모기영이 선정되었습니다. 최소한의 자본이 확보되었으므로, 성실히 다음 스텝을 내딛어보려고 합니다.

힘써주시고 응원해주시고 모기영을 선택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를 전합니다.

루틴한 이벤트가 아니라, 새롭고도 리추얼한 축제로 찾아뵙겠습니다. 고맙습니다.

 

2022. 06. 11. 토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수석프로그래머
최은 드림

이번 주간모기영에 답장을 하고 싶다면,,,

남겨주시는 이야기에 답장을 할 수는 없지만 
더 나은 모기영을 위해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빠짐없이 읽으려고 합니다.
혹시 모르죠 주간모기영에 실릴 수도...?  ˘˘

주간모기영에 바라는 점이나 아쉬운 점 있으면
아래 버튼을 눌러 적어주세요. 

Copyright © 2023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All rights reserved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주간모기영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4 주간모기영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Christian Film Festival For Everyone|혐오 대신 도모, 배제 대신 축제

 에서 나만의 뉴스레터 시작하기

자주 묻는 질문 / 문의하기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 admin@team.maily.so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