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2025년의 e스포츠크리틱

e스포츠 연구실

LCK Cup 2025, 1월 최고 한국 동시 시청자 51만 기록 | Esports Charts X Esports Critic

스트리밍 데이터로 살펴보는 2025년 1월 대한민국 e스포츠

2025.02.13 | 조회 334 |
0
|
from.
mdk
e스포츠 크리틱의 프로필 이미지

e스포츠 크리틱

조금은 Deep하지만 다양한 e스포츠 이야기들

👋 안녕하세요. 구독자님! e스포츠 크리틱입니다! Esports Charts와의 콜라보레이션이 한 번 더 찾아왔습니다. 개인적인 이유로 1~2월에는 e스포츠에 '딥-다이브'하지 못했었는데요. 최근에는 서서히 평소의 리듬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Esports Charts가 소중하게 뽑아서 공유해준 스트리밍 데이터들을 계기로 삼아 다시 열심히 달려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바쁜 와중에도 잊지 않고 데이터, 인사이트, 인포그래픽을 보내준 Esports Charts 측에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본격적으로 다시 달리기 시작한 1월

1월에는 주요 e스포츠 대회들이 본격적으로 새 시즌에 돌입했습니다. LCK는 시즌 오프닝에 이어 신설된 LCK Cup 2025로 LoL 팬들의 기다림에 보답했습니다. 특히, LCK Cup 2025는 피어리스 드래프트를 도입해 이전 시즌보다 다채로운 경기 양상으로 호평을 받았습니다. LCK 챌린저스 리그도 킥오프 대회가 시작되면서 LoL Esports 2025 시즌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모습이었습니다.

VCT 퍼시픽 역시 킥오프를 통해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습니다. 결승전에 진출한 최상위 2개 팀이 오는 2월 20일 열리는 2025 발로란트 마스터즈 방콕에 참가하기 때문에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 외에도 오버워치 2의 OWCS 2025가 WDG가 새롭게 마련한 WDG 스튜디오 홍대에서 개막을 알렸고, 이터널 리턴 역시 마스터즈 시즌 6가 시작되었습니다.

OWCS의 새로운 보금자리, WDG 스튜디오 홍대
OWCS의 새로운 보금자리, WDG 스튜디오 홍대

한국 e스포츠의 1월을 결산하는 인포그래픽은 세 가지 주제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를 보시기 전에 참고해주세요.

  • 최고 시청자를 기록한 이벤트 Top 5
  • 최고의 인기를 기록한 매치(LoL) Top 5
  • 최고의 인기를 기록한 매치(LoL 외) Top 5

본격적인 인포그래픽을 소개하기 전에 Esports Charts에서 보내온 인사이트 코멘트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Esports Charts CSO(최고 영업 책임자) 세르지이 루덴코가 소중한 의견을 보내주었는데요. 세르지이 루덴코는 Esports Charts의 영업 전략과 파트너십 개발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Sergii Rudenko, CSO of Esports Charts
Sergii Rudenko, CSO of Esports Charts

2025년 1월 한국 e스포츠는 언제나처럼 리그 오브 레전드와 발로란트가 주를 이뤘습니다. 그 외에는 OWCS 2025 코리아 스테이지1과 스타크래프트2 온라인 토너먼트인 올리모리그 #237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 두 대회는 약 1만 명 정도의 최고 시청자를 기록했습니다. T1은 리그 오브 레전드는 물론 발로란트에서도 큰 인기를 누렸고, Gen.G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더 자세한 데이터는 인포그래픽을 참고해주세요!

Sergii Rudenko, CSO of Esports Charts

세르지이 루텐코의 말처럼 한국 e스포츠는 리그 오브 레전드가 압도적 1위를 달리면서 그 뒤를 발로란트가 차지하는 양상이 꽤 오래 유지되고 있습니다. 지난 2024년 스트리밍 데이터 기반으로는 PUBG가 발로란트와 엎치락 뒤치락 경쟁하는 구도였는데요. PUBG는 아직 본격적인 시즌이 시작되지 않아서, 1월에는 오버워치 2가 발로란트의 뒤를 잇는 모습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올리모리그가 언급된 것이 반가운데요. 관심 있는 분들은 올리모리그를 주최하고 있는 크랭크의 인터뷰를 보고 오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최고 동시 시청자를 기록한 이벤트 Top 5

첨부 이미지

51만 7996 명으로 1월에 가장 높은 최고 동시 시청자를 기록한 대회는 LCK Cup 2025입니다. 올해 신설되어 피어리스 드래프트와 그룹스테이지 후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독특한 형태의 대회인데요. 스프링 스플릿으로 새로운 시즌을 맞이했던 이전 LoL Esports와는 다른 신선한 방식이며, 2월에는 플레이오프가 진행 중입니다. 우승을 차지한 한 팀만이 신설된 국제 리그 '퍼스트 스탠드 토너먼트'에 출전하기 때문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LCK Cup 2025 개막 이전에 열린 이벤트 매치 'LCK Season Opening 2025'는 14만 명의 최고 동시 시청자를 기록했습니다. 이 이벤트 매치는 지난 2024년에 Rule The Rift라는 이름으로 열린 바 있는데요. 올해도 열리며 롤드컵 이후 새 시즌 개막을 기다리던 LoL Esports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습니다. 다만, 지난 2024년 Rule The Rift는 약 20만 명의 최고 동시 시청자를 기록했었는데, 2025년에는 이에 미치지는 못했습니다.

그 외에는 VCT 2025 퍼시픽 킥오프, LCK CL 킥오프 2025, OWCS 2025가 뒤를 이었습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아직 PUBG e스포츠가 본격적인 시즌에 돌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2월에는 4, 5위에 큰 변화가 있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OWCS가 순위권 수성을 하기 위해서는 오버워치 2의 인기가 얼마나 회복할 수 있을 것인지가 관건인데요. 2월 13일 발표된 오버워치2 SPOTLIGHT를 통해 15 시즌, 16 시즌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WDG는 이 호재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할 것 같습니다!

최고의 인기를 기록한 매치(LoL) Top 5

첨부 이미지

LCK Cup 2025에서 가장 높은 최고 동시 시청자를 기록한 5개 매치를 살펴보면 T1이 무려 1위부터 4위까지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T1과 젠지가 맞붙은 대결은 2월 1일에 열렸기 때문에 1월 스트리밍 기록에는 포함되지 않았네요.

디플러스 기아는 LCK Cup 그룹스테이지에서 맹위를 떨쳤는데요. 디플러스 기아가 T1과 한화생명e스포츠를 2:1로 제압한 경기가 1, 5위에 오른 모습입니다. 반면, 그룹스테이지에서 OK저축은행 브리온에게 패배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였던 젠지의 경기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얻지 못했습니다. 그래도 1월에 한화생명e스포츠를 2:0으로 제압한 경기가 Top 5에 오르지 못한 점이 다소 의외입니다. 

최고의 인기를 기록한 매치(LoL 외) Top 5

첨부 이미지

LoL 이외에는 모두 VCT 퍼시픽에서 열린 경기들이 최고 동시 시청자 Top 5를 장식했습니다. 3만에서 4만 후반의 수치를 기록하고 있는 모습인데요.

지난 2024년 VCT 퍼시픽 경기 중 가장 높은 최고 동시 시청자를 기록했던 경기는 젠지와 DRX의 VCT 2024: 퍼시픽 시즌2 결승전(58,932)이었습니다. 킥오프 시즌이고, 비교적 초반 라운드의 경기들이었음에도 이 정도의 수치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2월에 발표될 DRX와 T1의 결승전 수치를 기대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e스포츠 크리틱을 운영하는 mdk는 e스포츠가 안정적으로 발전해 지속 가능한 산업이 되기를 희망하는 전문가입니다. 뉴스레터를 통해 다양한 소식과 의견을 꾸준히 전하며,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 좋겠습니다.

👉 제보 / 강연 / 협업 문의 jupiterbane@gmail.com

👉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maily.so/mdklabs

👉 다음 채널 https://v.daum.net/channel/550714/home

👉 뉴닉 채널 놀러가기 https://newneek.co/@jupiterbane01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e스포츠 크리틱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다른 뉴스레터

© 2025 e스포츠 크리틱

조금은 Deep하지만 다양한 e스포츠 이야기들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